양육비 산정기준표 및 계산기

양육비 산정기준표 한눈에 보기

이혼 후 우리 아이를 위한 양육비, 서울가정법원의 표준 기준을 바탕으로 알아보고 직접 계산해보세요.

💻양육비 예상 계산기

[주의] 이 계산 결과는 2022년 표준 산정표에 따른 단순 예상치입니다. 자녀의 수, 재산, 특수 교육비 등 추가적인 가산/감산 요소는 반영되지 않았으므로 법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금액을 확인해야 합니다.

⚖️1. 양육비 산정표란?

서울가정법원이 공표하는 표준 가이드라인으로, 법적 강제성은 없으나 협의나 소송 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 참고 자료: 법적 강제성은 없으며, 협의나 소송 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 공동 부담: 자녀 양육에 필요한 비용은 부모가 함께 부담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핵심 산정 기준

부모의 합산 소득자녀의 나이를 기준으로 표준 양육비가 결정됩니다.

부모 합산 월소득(가로) X 자녀 나이(세로) = 표준 양육비

➕➖3. 실제 지급액은 달라질 수 있어요! (가산 & 감산 요소)

표준 양육비에 각 가정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여 금액이 조절될 수 있습니다.

가산 (+) 요인 감산 (-) 요인
  • ✔️ 고액의 치료비 (중증 질환, 장애 등)
  • ✔️ 고액의 교육비 (유학, 예체능)
  • ✔️ 자녀가 1명인 경우
  • ✔️ 도시 거주
  • ✔️ 부모의 재산이 넉넉한 경우
  • ✔️ 자녀 3명 이상 (전체 부담 고려)
  • ✔️ 농어촌 거주
  • ✔️ 부모 일방의 개인회생 등 특수 사정

🔔4. 꼭 알아두세요!

  • 주기적 개정: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해 기준표는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최신 2022.3.1. 시행)
  • 미지급 시 제재 강화: 운전면허 정지, 출국금지, 명단 공개 등의 조치가 가능합니다.
  •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 (2025년 7월 예정): 국가가 미성년 자녀에게 1인당 월 20만원을 먼저 지급하고, 나중에 채무자에게 회수합니다.

핵심 조언

양육비 산정표는 훌륭한 '시작점'이자 '참고 자료'입니다. 하지만 모든 가정의 상황은 다릅니다. 우리 아이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다면 반드시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으시길 바랍니다.